경제3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전세 계약을 하실 분들은 전세금 사기 예방을 위해서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필수로 받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전세금을 지킬 대항력과 우선 변제권이라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그럼 주민센터를 직접 가지 않고 쉽고 편리하게 인터넷으로 전입신고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접속 및 로그인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로그인합니다↓↓ https://www.gov.kr/ 정부24 www.gov.kr 2. 전입신고 서비스로 이동 검색창에서 '전입신고'를 입력하고 처음에 나오는 서비스 바로가기를 눌러서 이동합니다 3. 전입신고 신청 민원 내용을 확인한 뒤 '신고'를 클릭합니다 4. 신청인 정보 입력 유의사항 페이지를 확인하고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 신청인 정보를 입력, 전입하는 사유를 선택합니다. 5. 이사 전.. 2022. 3. 16.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조건 및 서류, 신청방법 직장이나 학업을 위해 근방에 전셋집을 구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택도시 기금에서는 전세자금이 부족한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들에게 낮은 금리로 전세자금을 대출해주고 있습니다.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조건과 필요한 서류 그리고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1. 대출 대상 2. 대출 금리·한도·기간 3. 대출 서류 4. 신청 방법 1. 대출 대상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순자산가액 3.25억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예비 세대주 포함)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의 세대주(예비 세대주 포함) 2. 대출 금리·한도·기간 대출금리 연 1.5%~2.1% 대출한도 최대 7천만원 이내(임차보증금의 80% 이내) 대출기간 최초 2년(4회 연장, 최장.. 2022. 3. 16. 2022 청년 도약 계좌 신청 가입 조건 윤석열 후보가 대통령 당선이 되면서 공약으로 내걸었던 10년 만기 시 1억원을 마련할 수 있는 금융지원 정책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소득 구간에 따라 정부의 지원이 달라집니다. 그럼 신청 가입 조건 및 세부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 청년 도약 계좌란? 1. 가입 조건 및 혜택 2. 소득구간 별 정부의 지원 정도 1. 가입 조건 및 혜택 대상 -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 매달 70만원 한도내 일정액 저축 시 정부가 월 최대 40만원 지원 10년 만기로 1억을 만들어주는 계좌 주식형·채권형·예금형 중 택1 2. 소득구간 별 정부의 지원 정도 (단위 : 만원) 고정 정부기여 본인기여 한도 저축비례 정부기여한도 본인+정부 연소득 2.. 2022. 3. 13. 이전 1 다음